맨위로가기

킬링필드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링필드는 1984년 개봉한 영화로, 캄보디아 내전과 크메르 루주 정권의 만행을 배경으로 한다. 시드니 섐버그 기자의 기사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캄보디아의 현실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호평을 받았다. 샘 워터스턴, 하잉 S. 응고르 등이 출연했으며, 아카데미상, BAFTA상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하지만, 영화의 묘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랑 조페 감독 영화 - 바텔 (영화)
    2000년 롤랑 조페 감독의 영화 바텔은 17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루이 14세의 방문을 기념하는 축제 준비 과정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루며 제라르 드파르디외와 우마 서먼이 주연을 맡았으나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롤랑 조페 감독 영화 - 멸망의 창조
    《멸망의 창조》는 1989년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맨해튼 계획을 배경으로 레슬리 그로브스 장군과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중심으로 원자 폭탄 개발 과정의 기술적 난관, 윤리적 갈등, 매카시즘 시대 사회적 분위기를 묘사하며, 폴 뉴먼 등 명배우들이 출연하여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해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 캄보디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지옥의 묵시록
    조셉 콘래드의 소설 『암흑의 심연』을 바탕으로, 베트남 전쟁 중 윌라드 대위가 커츠 대령 암살 임무를 수행하며 전쟁의 잔혹한 현실과 마주하고 커츠의 광기를 접한 후 그를 암살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지옥의 묵시록》은 여러 버전으로 제작되었으며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캄보디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툼 레이더 (2001년 영화)
    《툼 레이더》(2001)는 라라 크로프트가 고대 유물 빛의 삼각형을 차지하려는 일루미나티에 맞서 싸우는 액션 어드벤처 영화이며, 안젤리나 졸리가 라라 크로프트 역을 맡아 캄보디아, 시베리아 등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정치 드라마 영화 - 무솔리니와 차 한 잔
    1930년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외국인 여성 모임인 '스코르피오니'가 사회적 격변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무솔리니와 차 한 잔》은 여성 연대, 파시즘 저항, 예술의 힘, 전쟁과 인간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 정치 드라마 영화 - 아버지의 이름으로
    짐 셰리던 감독의 영화 《아버지의 이름으로》는 길드포드 펍 폭탄 테러 누명을 쓴 북아일랜드 출신 제리 콘론이 아버지 주세페 콘론과 함께 진실을 밝히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다니엘 데이 루이스, 피트 포스틀스웨이트, 엠마 톰슨 등이 출연했고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다.
킬링필드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롤랑 조페
제작자데이비드 퍼트넘
이언 스미스
각본브루스 로빈슨
원작시드니 섐버그의 《디스 프랜의 죽음과 삶》
출연샘 워터스턴
하잉 S. 응오르
크레이그 T. 넬슨
존 말코비치
애솔 퍼가드
음악마이크 올드필드
촬영크리스 멩게스
편집짐 클라크
스튜디오골드크레스트 필름
인터내셔널 필름 인베스터즈
에니그마 프로덕션
배급사컬럼비아-EMI-워너 디스트리뷰터스
개봉일1984년 11월 2일
상영 시간141분
제작 국가영국
언어영어
프랑스어
크메르어
제작비1,440만 달러
흥행 수익3,470만 달러

2. 주요 등장인물

(내용 없음)

2. 1. 주연


  • 샘 워터스턴 - 시드니 섐버그 역
  • 하잉 S. 응고르 - 디스 프란 역. 프란과 마찬가지로 응고르는 캄보디아 학살의 난민이자 생존자였으며, 영화 촬영 몇 년 전 캄보디아 포로 수용소에서 세 번의 형기를 견디고 탈출했다.
  • 존 말코비치 - 알 라코프 역
  • 줄리안 샌즈 - 존 스웨인 역
  • 크레이그 T. 넬슨 - 리브스 소령 역
  • 스팔딩 그레이 - 미국 영사 역
  • 빌 패터슨 - 맥킨타이어 박사 역
  • 애솔 푸가드 - 선데스발 박사 역
  • 그레이엄 케네디 - 더갈 역
  • 패트릭 말라하이드 - 모건 역
  • 넬 캠벨 - 베스 역
  • 조앤나 멀린 - 섐버그의 누이 역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후지 TV
시드니 섐버그샘 워터스턴오가와 신지
디스 프란하잉 S. 응고르히우라 벤
알 로코프존 말코비치센다 미쓰오
존 스웨인줄리안 샌즈다나카 히데유키
킨케이드스폴딩 그레이나카타 코지
리브스크레이그 T. 넬슨하즈미 쥰
매킨타이어빌 패터슨
두갈그레이엄 케네디
모건패트릭 말라하이드기야마 치카오
베스넬 캠벨
프랑스데이비드 헨리이나바 미노루


  • 후지 TV판: 첫 방송 1987년 11월 7일 '골든 외화 극장' ※블루레이 디스크 수록·본편 약 140분

2. 2. 조연


  • 존 말코비치 - 알 라코프 역
  • 줄리안 샌즈 - 존 스웨인 역
  • 크레이그 T. 넬슨 - 리브스 소령 역
  • 스팔딩 그레이 - 미국 영사 역
  • 빌 패터슨 - 맥킨타이어 박사 역
  • 애솔 푸가드 - 선데스발 박사 역
  • 그레이엄 케네디 - 더갈 역
  • 패트릭 말라하이드 - 모건 역
  • 넬 캠벨 - 베스 역
  • 조앤나 멀린 - 섐버그의 누이 역

3. 캄보디아 내전과 크메르 루주

1970년대 초 캄보디아론 놀 정부의 캄보디아 국군과 폴 포트가 이끄는 공산주의 무장 단체 크메르 루주 사이에 격렬한 캄보디아 내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미국베트남 전쟁의 확전을 막는다는 명분 하에 캄보디아 영토에 대한 대규모 폭격을 감행했으며[12], 이는 내전을 더욱 격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75년, 크메르 루주는 결국 프놈펜을 함락시키고 캄보디아 전역을 장악했다.[12][1] 정권을 잡은 크메르 루주는 극단적인 농본주의 사상에 기반하여 과거를 부정하고 새로운 사회를 건설한다는 명목으로 "제로의 해"를 선포했다. 이들은 도시 주민들을 농촌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켜 집단 농장에서 강제 노동에 동원했으며, 지식인, 기술자, 전직 관료 등 구체제와 연관된 사람들을 '인민의 적'으로 간주하여 무자비하게 숙청하고 학살했다. 이러한 대규모 학살이 자행된 장소들은 훗날 '킬링필드'로 불리게 된다.[1][2] 영화는 이러한 비극적인 역사를 배경으로, 내전의 참상을 취재하는 기자들의 시선을 통해 크메르 루주 정권의 잔혹성을 고발한다.

3. 1. 내전 발발 (1970-1975)

1973년 프놈펜에서는 캄보디아 국군과 공산주의 단체 크메르 루주 사이의 캄보디아 내전이 한창이었다. 캄보디아 출신 기자이자 ''뉴욕 타임스''의 통역관인 디스 프란은 동료 기자 시드니 섕버그를 기다리던 중, 미국 B-52 폭격기가 낙렁을 폭격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섕버그와 프란은 사진작가 알 로코프와 함께 폭격 현장으로 가 참상을 확인하고, 크메르 루주 요원의 처형 장면을 촬영하려다 체포되기도 하지만 곧 풀려난다. 섕버그는 미군과 함께 뒤늦게 도착한 국제 언론 특파원단을 보며 분노를 느낀다.[12]

2년 뒤인 1975년, 크메르 루주의 프놈펜 함락이 임박하자 미국은 이글 풀 작전을 통해 대사관 인력을 철수시킨다. 섕버그는 프란의 가족이 미국으로 갈 수 있도록 돕지만, 프란은 섕버그를 돕기 위해 캄보디아에 남기로 결정한다. 곧이어 크메르 루주가 수도 프놈펜으로 진입하는데, 처음에는 평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러나 행진 중 섕버그와 로코프는 크메르 루주 부대에게 붙잡혀 처형될 위기에 처한다. 캄보디아인인 프란은 크메르 루주 병사들을 설득하여 친구들을 구출하고, 일행은 프랑스 대사관으로 피신한다.[12]

하지만 크메르 루주는 프랑스 대사관에 있는 모든 캄보디아 시민을 넘기라고 명령하고, 프랑스 대사는 결국 이에 응한다. 프란이 끌려가면 투옥되거나 살해될 것이 분명했기에, 로코프와 동료 사진작가 존 스웨인은 프란을 위한 영국 여권을 급히 위조하려 한다. 그러나 조악한 인화지에 인쇄된 사진 이미지가 지워지면서 위조 시도는 실패하고, 프란은 결국 크메르 루주에게 넘겨져 그들의 전체주의 정권 하에서 살아가게 된다.[12] 프란은 신분을 숨긴 채 집단 농장으로 보내져 강제 노동과 정치적 세뇌 교육을 받게 된다. 이는 크메르 루주가 내세운 "제로의 해" 정책, 즉 과거의 농본주의 사회로 회귀하려는 극단적인 시도의 일부였다.

3. 2. 크메르 루주의 프놈펜 함락 (1975)

1975년, 크메르 루주프놈펜 점령이 임박하자 미국은 이글 풀 작전을 통해 대사관 직원들을 철수시킨다. 뉴욕 타임스 기자 시드니 섕버그는 캄보디아인 동료이자 통역관인 디스 프란의 가족을 미국으로 피신시키지만, 프란은 직업적 사명감과 섕버그를 돕기 위해 캄보디아에 남기로 결정한다.[1][2]

얼마 지나지 않아 크메르 루주는 겉으로는 평화롭게 수도 프놈펜으로 진입하여 도시를 완전히 장악한다. 행진 중 섕버그와 사진작가 알 로코프는 크메르 루주 부대에게 즉시 체포되어 죄수들이 처형되는 장소로 끌려간다. 캄보디아인이라는 이유로 해를 입지 않은 프란은 친구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크메르 루주와 협상하고, 이들은 프랑스 대사관으로 피신한다.[1][2]

그러나 크메르 루주는 프랑스 대사관에 있는 모든 캄보디아 시민을 넘기라고 명령했고, 두려움에 질린 프랑스 대사는 이 요구에 응한다. 프란이 투옥되거나 살해될 것을 우려한 섕버그와 동료 사진작가 존 스웨인은 프란을 위해 영국 여권을 급히 위조하려 하지만, 조악한 인화지 때문에 여권 사진의 이미지가 사라져 실패하고 만다. 결국 프란은 프랑스 대사관을 나와 크메르 루주에게 넘겨지고, 폴 포트가 이끄는 전체주의 정권 하의 집단 농장으로 이송되어 강제 노동과 정치적 세뇌를 강요받는 삶을 시작한다.[1][2] 크메르 루주는 과거의 농본주의 사회로 돌아가려는 극단적인 "제로의 해" 정책을 시행하며, 지식인들을 색출하여 강제 실종시키거나 처형했다. 집단 농장에서는 작업이 느리거나 짐마차를 탔다는 사소한 이유만으로도 사람들이 총살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1][2]

4. 크메르 루주 정권의 만행 (1975-1979)

1975년 4월, 폴 포트가 이끄는 크메르 루주가 수도 프놈펜을 함락시키면서 캄보디아는 극단적인 공포 정치 시대로 접어들었다. 크메르 루주 정권은 과거 도시 문명을 부정하고 원시적인 농본주의 사회를 건설한다는 목표 아래 이른바 '제로의 해'를 선포했다. 이 정책에 따라 도시의 모든 주민은 농촌 지역의 집단 농장으로 강제로 이주되어 혹독한 강제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화폐와 사유 재산 제도는 폐지되었고, 종교 활동은 금지되었으며, 학교와 병원 등 사회 기반 시설은 파괴되었다.

크메르 루주 정권은 자신들의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모든 계층을 '인민의 적'으로 규정하고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특히 과거 론 놀 정권에 협력했던 군인과 관료, 지식인(교사, 의사, 기술자 등), 종교인, 소수 민족, 심지어 외국어를 구사하거나 안경을 썼다는 이유만으로도 처형 대상이 되었다. 영화 속 주인공 디스 프란 역시 언론인이자 외국어 구사 능력을 가진 지식인이었기에,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어리석은 척하며 혹독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집단 농장에서는 비인간적인 통제와 정치적 세뇌가 일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배고픔과 질병, 고된 노동 속에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또한, 크메르 루주 간부들은 사소한 이유나 아무런 이유 없이 주민들을 즉결 처형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프란이 탈출 과정에서 목격한, 수많은 인골이 가득한 킬링필드는 당시 캄보디아 전역에서 자행된 대규모 학살의 참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이다.

크메르 루주 정권의 통치는 1979년 1월 베트남 군의 침공으로 붕괴될 때까지 약 3년 8개월간 지속되었다. 이 짧은 기간 동안 학살, 기아, 질병 등으로 인해 당시 캄보디아 전체 인구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150만 명에서 200만 명 가량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세기에 발생한 최악의 제노사이드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4. 1. '제로의 해' 선포와 강제 이주

시드니 섕버그 등 외국인 기자들이 프랑스 대사관을 통해 탈출하는 과정에서, 캄보디아인인 디스 프란은 위조 여권의 사진 인화 문제로 탈출에 실패하고 크메르 루주에게 넘겨진다.[31] 프란은 크메르 루주의 전체주의 정권 하에서 살아가게 된다.

캄보디아를 장악한 크메르 루주는 과거의 농본주의 사회로 회귀한다는 명목 하에 '제로의 해' 정책을 선포한다. 이 정책에 따라 도시의 주민들은 농촌 지역의 집단 농장으로 강제 이주되어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 프란 역시 집단 농장으로 이송되어 강제 노동자가 된다.

집단 농장에서는 정치적 세뇌를 위한 선전 교육이 강요되었으며, 지식인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은 강제 실종되거나 처형당했다. 프란은 살아남기 위해 자신이 교육받았다는 사실을 숨기고 어리석은 척해야만 했다. 농장 생활은 극도로 잔혹했으며, 비합리적인 이유로 사람들이 즉결 처형되는 일이 빈번했다. 예를 들어, 농장으로 이동할 때 걷지 않고 짐수레를 탔다는 이유나 작업 속도가 느리다는 이유만으로 총살당하기도 했다. 또한, "크메르 루주가 용서할 것"이라는 회유에 속아 자신의 신분을 밝힌 전직 교사나 의사들도 처형당하는 등 지식인에 대한 탄압이 극심했다.

프란은 이러한 참혹한 현실 속에서 집단 농장을 탈출하려 시도하며, 그 과정에서 폴 포트 정권의 대량 학살 증거인 수많은 인골이 널려있는 킬링필드의 참상을 목격하게 된다.

4. 2. 지식인, 종교인, 소수민족 학살

크메르 루주 정권 하의 캄보디아에서는 폴 포트가 내세운 "제로의 해" 정책에 따라 극단적인 농본주의 사회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과거 도시 문명과 관련된 모든 것은 청산 대상으로 여겨졌으며, 특히 지식인들은 '반혁명 분자'로 규정되어 무자비한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영화 속 주인공 디스 프란이 끌려간 집단 농장에서는 이러한 학살이 일상적으로 자행되었다. 단순히 짐마차를 탔다는 이유나 작업 속도가 느리다는 이유만으로도 사람들이 즉결 처형당했으며, 이는 크메르 루주 정권의 비인간적인 통제 방식을 보여준다. 특히, 과거 교사의사였던 사람들은 "크메르 루주가 용서할 것"이라는 거짓 약속에 속아 신분을 밝혔다가 처형당하는 등, 지식인에 대한 계획적인 제거 작업이 이루어졌다.

프란 역시 전직 언론인이자 외국어(영어, 프랑스어) 구사 능력을 가진 지식인이었기 때문에,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신분과 교육 수준을 필사적으로 숨겨야 했다. 그는 농장 간부 앞에서 어리석은 척 연기하며 자신이 혁명 전에는 택시 운전사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몰래 BBC 라디오 방송을 듣다가 간부에게 발각되면서 지식인임이 드러나기도 했다. 다행히 그 간부는 크메르 루주에 비판적인 인물이었기에 프란을 처벌하지 않았지만, 이는 당시 지식인으로 간주되는 것 자체가 얼마나 위험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처럼 크메르 루주 정권은 지식인들을 잠재적인 반대 세력으로 간주하고 철저히 탄압했으며, 이는 킬링필드라는 비극의 중요한 단면을 이룬다.

4. 3. 킬링필드

크메르 루주 정권 아래 프란은 제로의 해 정책에 따라 강제 노동자가 되었다. 그는 많은 사람이 정치적 세뇌를 받는 선전 수업에 참석하도록 강요받았으며, 지식인이 강제 실종되는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어리석은 척해야 했다.

프란이 보내진 집단 농장에서는 사람이 특별한 이유 없이 총살당했다. 농장으로 이동할 때 짐마차를 탔다는 이유나 작업이 느리다는 이유만으로도 처형되었고, 신분을 숨기고 있던 전직 교사나 의사는 "크메르 루주는 너희를 용서할 것"이라는 거짓말에 속아 정체를 밝힌 뒤 살해되었다.

결국 프란은 탈출을 시도하다가 폴 포트 정권의 킬링필드 중 한 곳을 마주하게 된다. 그곳에는 수많은 인골이 널려 있었는데, 이는 크메르 루주 정권 아래 자행된 대량 학살과 잔혹성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5. 베트남의 침공과 크메르 루주 정권 붕괴 (1979)

디스 프란은 팟이라는 남자가 관리하는 마을에서 집안일을 하고 그의 어린 아들을 돌보며 지내게 된다. 프란은 자신이 과거 택시 운전사였다고 주장하며 교육받은 사실을 계속 숨기려 하지만, 밤에 몰래 영어 라디오 방송을 듣다가 팟에게 발각된다. 그러나 팟은 프란을 처벌하는 대신 크메르 루주 지도부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자신이 잘못될 경우 아들을 돌봐달라고 부탁한다.

이후 크메르 루주의 베트남과의 국경 전쟁이 벌어지는 혼란 속에서, 팟은 동료들을 처형하려는 젊은 크메르 루주 장교들을 막다가 총에 맞아 사망한다. 이 혼란을 틈타 프란은 팟의 아들과 다른 동료 넷과 함께 탈출하여 정글을 가로지르는 긴 여정을 시작한다. 도중에 일행은 흩어지고, 프란과 함께 가던 한 남성은 팟의 아들을 안고 있다가 숨겨진 지뢰를 밟아 아이와 함께 목숨을 잃는다.

홀로 정글을 계속 헤쳐나간 프란은 마침내 태국 국경 근처에 있는 적십자 난민 캠프를 발견한다. 한편 미국에 있던 시드니 섕버그는 프란이 살아있다는 소식을 듣고 캠프로 찾아와 프란과 극적으로 재회한다. 프란은 섕버그에게 용서를 확신하고 두 사람은 서로 포옹한다.

6. 영화의 제작 과정

데이비드 퍼트넘 프로듀서는 브루스 로빈슨의 각본을 읽고 영화 제작을 결심했다. 롤랑 조페 감독은 퍼트넘으로부터 각본을 받았을 때 "엄청난 분량이었지만 열정과 에너지로 가득 차서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고 회상했다. 조페는 퍼트넘에게 이 영화가 단순한 전쟁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적인 관계, 우정이 어떻게 싹트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야기"임을 강조하며 제작에 신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퍼트넘은 여러 유명 감독들을 만났지만, 조페가 유일하게 영화의 본질을 이해했다고 판단하여 그에게 감독직을 맡겼다.[3]

조페 감독의 배우 오디션 과정은 독특했다. 배우 줄리안 샌즈는 "그 이후로 그렇게 철저한 과정을 겪어본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조페는 영화 경험이 많지 않은 배우들을 모아 신선함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즉흥 연기 등을 통해 배우들을 선발했다. 주연 배우 샘 워터스턴, 존 말코비치 등과 함께 크메르 루주 정권 하 킬링필드의 실제 생존자인 하잉 S. 응고르가 디스 프란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응고르는 영화 촬영 몇 년 전 캄보디아 학살 당시 포로 수용소에서 세 번의 형기를 견디고 탈출한 경험이 있었다. 샌즈는 응고르가 연기 경험이 없다는 점에 대해, 존 말코비치의 말을 빌려 "행은 평생 연기를 해왔다. 크메르 루주에서 살아남으려면 꽤 훌륭한 배우여야 했으니까"라고 덧붙였다.[3]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는 존 레논의 노래 이매진이 사용되었다. 퍼트넘은 오노 요코가 영화를 본 후 감정적으로 매우 동요하며 "이것이 바로 존이 이 노래가 사용되기를 바랐던 방식"이라고 말했다고 회상했다.[4]

7. 영화에 대한 평가 및 논란

영화 ''킬링 필드''는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 비판과 논란도 함께 존재한다.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으며,[7][8] 일본의 유명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역시 이 영화를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11]

그러나 영화 속 묘사에 대해 실제 사건을 경험한 당사자들의 비판도 제기되었다. 사진기자 알 로코프는 자신과 시드니 섕버그가 그려진 방식에 불만을 나타냈고,[9] 또 다른 사진가 데니스 캐머런 (사진가)은 영화 완성 후 자신의 컨설턴트 크레딧 삭제를 요청하기도 했다.[10]

특히 일본에서는 영화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다. 언론인 혼다 가쓰이치는 영화가 캄보디아 내전의 복잡한 배경 설명을 소홀히 하고 정치적, 차별적 시각을 담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34][35] 반면, 아사히 신문 출신의 동료 언론인 이가와 가즈히사는 일부 비판점에 공감하면서도 영화의 의의와 미국 문화의 건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었다.[35][37] 베트남 전쟁 당시 사이공 함락을 취재했던 마이니치 신문 특파원 고모리 요시히사처럼 영화를 절찬하는 의견도 존재했다.[38]

7. 1. 긍정적 평가

''킬링 필드''는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신선도 평점과 10점 만점에 평균 8.30점의 평점을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총평은 "예술적으로 구성되었고, 강력한 연기를 보여주며, 분노와 공감의 강력한 조화로 이루어진 ''킬링 필드''는 로랑 조페 감독에게는 경력을 정의하는 승리이며, 영화 예술의 걸작이다."라고 요약한다.[6]

저명한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선타임스'' 기고문에서 "이 영화는 모든 기술적인 면에서 훌륭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의 촬영을 통해 우리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최고의 순간은 인간적인 면, 즉 대화, 신뢰의 교환, 기다림, 갑작스러운 공포, 짧은 폭력, 절망 등이다."라고 호평했다.[7] 존 사이먼은 내셔널 리뷰에 "결점에도 불구하고 ''킬링 필드''는 중요하고, 실제로 필요한 영화이다."라고 썼다.[8]

일본의 거장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100편 중 하나로 꼽았다.[11]

이 영화는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오르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수상부문후보결과비고
아카데미상작품상데이비드 푸트남후보[12]
아카데미상감독상롤랑 조페후보[12]
아카데미상남우주연상샘 워터스턴후보[12]
아카데미상남우조연상하잉 S. 응오르수상[12]
아카데미상각색상브루스 로빈슨후보[12]
아카데미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12]
아카데미상편집상짐 클라크수상[12]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상최우수 편집 극영화상짐 클라크후보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작품상킬링 필드수상[13]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하잉 S. 응오르수상[13]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남우조연상존 말코비치수상[13]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13]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작품상데이비드 푸트남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감독상롤랑 조페후보[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남우주연상하잉 S. 응오르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남우주연상샘 워터스턴후보[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각색상브루스 로빈슨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편집상짐 클라크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분장상토미 맨더슨후보[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프로덕션 디자인상로이 워커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영화 음악상마이크 올드필드후보[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음향상이안 풀러, 클라이브 윈터, 빌 로수상[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시각 효과상프레드 크레이머후보[1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유망 신인상하잉 S. 응오르수상[14]
영국 촬영 감독 협회상극영화 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15]
세자르상외국어 영화상롤랑 조페후보[16]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외국어 영화상롤랑 조페후보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외국 감독상롤랑 조페후보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최우수 외국 프로듀서데이비드 푸트남수상
미국 감독 조합상영화 부문 뛰어난 연출상롤랑 조페후보[17]
골든 글로브상드라마 작품상킬링 필드후보[18]
골든 글로브상드라마 남우주연상샘 워터스턴후보[18]
골든 글로브상남우조연상하잉 S. 응오르수상[18]
골든 글로브상감독상롤랑 조페후보[18]
골든 글로브상각본상브루스 로빈슨후보[18]
골든 글로브상주제가상마이크 올드필드후보[18]
일본 아카데미상외국어 영화상킬링 필드후보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올해의 감독상롤랑 조페수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남우조연상존 말코비치준우승[19]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19]
전미 비평 위원회상톱 10 영화킬링 필드3위[20]
전미 비평가 협회상남우조연상존 말코비치수상[21]
전미 비평가 협회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21]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작품상킬링 필드2위[22]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촬영상크리스 멩게스수상[22]
정치 영화 협회상특별상킬링 필드수상
미국 작가 조합상각색상브루스 로빈슨수상[23]



이 외에도 ''킬링 필드''는 BFI가 선정한 영국 영화 100선에서 100위에 올랐으며, 채널 4가 선정한 '100대 눈물샘 자극 영화' 목록에서 30위,[24] AFI가 선정한 100년...100번의 갈채 목록에서 60위를 차지하는 등 꾸준히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7. 2. 비판적 시각

영화 ''킬링 필드''는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의 긍정 평가와 8.30/10의 평균 평점을 기록했으며, "예술적으로 구성되었고, 강력한 연기를 보여주며, 분노와 공감의 강력한 조화로 이루어진 ''킬링 필드''는 로랑 조페 감독에게는 경력을 정의하는 승리이며, 영화 예술의 걸작이다"라는 평론가들의 총평을 받았다.[6]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시카고 선타임스'' 기고문에서 영화의 기술적 성취와 더불어 인간적인 면모, 특히 대화, 신뢰, 기다림, 공포, 폭력, 절망 등을 효과적으로 담아냈다고 호평했다.[7] 존 사이먼 (평론가) 역시 내셔널 리뷰에서 "결점에도 불구하고 ''킬링 필드''는 중요하고, 실제로 필요한 영화"라고 평가했다.[8] 일본의 유명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는 이 영화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100편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11]

그러나 영화는 실제 사건을 겪었던 당사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사진기자 알 로코프는 영화 속 자신과 시드니 섕버그의 묘사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9] 또 다른 사진가인 데니스 캐머런 (사진가)은 완성된 영화를 본 후 자신의 컨설턴트 크레딧을 삭제해달라고 요청했다.[10]

일본 내에서도 비판적인 시각이 제기되었다. 언론인 혼다 가쓰이치는 영화 개봉 직후, 이 영화가 선전 영화와 같은 정치적이고 차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34][35] 혼다는 과거 폴 포트 정권에 우호적인 기사를 쓴 이력이 있으며,[36] 크메르 루주의 학살 행위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던 인물이다. 그는 영화가 캄보디아 대량 학살의 배경과 전체 상황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관객에게 정세를 오해하게 만들 소지가 크고, 주인공 섕버그가 다른 캄보디아인들의 고통을 외면한 채 오직 동료인 디스 프란의 구출에만 힘쓰는 모습이 차별적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그는 이 영화에 감동하는 것은 캄보디아 정세에 무지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34]

반면, 혼다와 같은 아사히 신문 출신의 언론인 이가와 가즈히사는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영화가 폴 포트 정권의 만행과 문명 파괴 실태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배경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35]에는 동의하면서도, 영화가 실제 일어난 사건을 전달하며 역사의 진실에 다가가려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또한 섕버그와 프란의 관계는 당시 인도차이나에 있던 외국인 특파원들 사이에서는 보기 드문 깊은 우정 관계였다고 보았다. 이가와는 이러한 주제의 영화가 일본에서는 기획조차 되기 어려운 현실과 달리, 미국에서 제작되었다는 사실 자체에서 미국 문화 구조의 건강한 일면을 엿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35][37]

8. 영화의 의의와 영향

영화 《킬링필드》는 캄보디아 내전 당시 크메르 루주 정권 하에서 벌어진 참혹한 현실을 뉴욕 타임스 기자 시드니 섕버그와 그의 현지 통역가이자 조력자인 디스 프란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영화는 프놈펜 함락 이후 크메르 루주가 자행한 제로의 해 정책 아래 강제 노동, 정치적 세뇌, 지식인 학살 등 극단적인 인권 유린 상황을 고발한다. 프란이 신분을 숨기고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살아남아 결국 킬링필드를 목격하고 탈출하는 과정은 당시 캄보디아 국민들이 겪어야 했던 끔찍한 고통과 공포를 관객에게 전달하며 깊은 충격을 주었다.

이 영화는 크메르 루주 정권의 만행과 그 속에서 피어난 인간의 생존 의지, 그리고 진실을 알리려는 언론인의 사명감을 조명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섕버그가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프란의 공로를 언급하고 그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전쟁의 비극 속에서도 우정과 연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킬링필드》는 과거의 비극 재현을 넘어, 국가 폭력과 집단 학살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민주주의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영화는 언론 탄압과 표현의 자유 억압 현실을 통해 권위주의 체제가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방식을 극명하게 보여주며, 자유와 인권 수호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The Once and Future Film: British Cinema in the Seventies and Eighties Methuen
[2] 웹사이트 killingfields
[3] 뉴스 Roland Joffe and Julian Sands: how we made The Killing Fields https://www.theguard[...] 2014-11-10
[4] 웹사이트 Producer David Puttnam on the Making of the Killing Fields https://www.popmatte[...] 2024-02-26
[5] 서적 My indecision is final Faber and Faber
[6] 웹사이트 The Killing Fields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8-21
[7] 웹사이트 The Killing Fields Movie Review (1984) – Roger Ebert http://rogerebert.su[...] 2018-01-27
[8] 서적 John Simon on Film: Criticism 1982–2001 Applause Books
[9] 뉴스 Being Al Rockoff: Shooting from the hip in Cambodia http://www.taipeitim[...] 2000-04-16
[10] 뉴스 Denis Cameron obituary https://www.independ[...] 2006-10-25
[11] 웹사이트 From Stanley Kubrick to Martin Scorsese: Akira Kurosawa once named his top 10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2021-01-12
[12] 웹사이트 The 57th Academy Awards (1985)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1-10-13
[13] 웹사이트 BSFC Winners: 1980s https://bostonfilmcr[...]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2018-07-27
[14] 웹사이트 BAFTA Awards: Film in 1985 http://awards.bafta.[...] British Academy Film Awards
[15] 웹사이트 Best Cinematography in Feature Film https://bscine.com/m[...] British Society of Cinematographers
[16] 웹사이트 The 1986 Caesars Ceremony https://www.academie[...] César Awards
[17] 웹사이트 The 37th Annual DGA Awards https://www.dga.org/[...] Directors Guild of America Awards
[18] 웹사이트 The Killing Fields https://goldenglobes[...] Golden Globe Awards
[19] 웹사이트 The 10th Annual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http://www.lafca.net[...]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20] 웹사이트 1984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21] 뉴스 'Stranger Than Paradise' wins award https://www.nytimes.[...] 1985-01-03
[22] 뉴스 'Passage' Wins Two Big Awards https://news.google.[...] 1984-12-20
[23]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24] 웹사이트 Channel 4's 100 greatest Tearjerkers http://www.channel4.[...] Channel Four. 2009-06-06
[25] 웹사이트 Umbrella Entertainment – DVD http://www.umbrellae[...] 2013-05-28
[26] 웹사이트 Umbrella Entertainment – Blu-ray http://www.umbrellae[...] 2013-05-28
[27] 뉴스 The Killing Fields: authentically good https://www.theguard[...] 2009-03-12
[28] 웹사이트 Haing S. Ngor Foundation – Biography http://www.haingngor[...] 2014-09-14
[29] 뉴스 In 'The Killing Fields,' A Cambodian Actor Relives His Nation's Ordeal https://query.nytime[...] 1984-10-28
[30] 웹사이트 Cambodian Doctor Haing Ngor Turns Actor in the Killing Fields, and Relives His Grisly Past : People.com http://www.people.co[...] 2014-09-14
[31] 뉴스 Screen: Tale of Death And Life of a Cambodian https://movies.nytim[...] 1984-11-02
[32] 서적 The Killing Fields
[33] 웹사이트 The Killing Fields (1984)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9-12-08
[34] 간행물 無知な人々だけが感激する『キリング=フィールド』 1985-08
[35] 간행물 シンポジウム 映画『キリング・フィールド』の真実 「無知なる大衆」とは何か カンボジア大量虐殺をめぐって 1985-08-23
[36] 간행물 欧米人記者のアジアを見る眼 潮 1975-07
[37] 뉴스 米映画『キリング・フィールド』 これでも語り尽くせぬポル・ポト派に殺された者の無念 朝日ジャーナル 1985-07-19
[38] 간행물 『キリング・フィールド』にみる「解放」のまぼろし 諸君 198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